리눅스 운영체제에서 파일들을 어떻게 관리하는지 알아봅시다
파일 저장 방식
Windows에서는 직접 폴더를 만들고 그 폴더 안에 파일을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하지만 바탕화면에서는 폴더 생성 없이 바로 파일을 저장할 수 있는데, 이 바탕화면도 하나의 폴더입니다
내 PC > C 드라이브 > 사용자 순서대로 들어가면 "바탕 화면"이라는 폴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
이렇게 계속 파일이 폴더에 저장이 되는데 이 폴더 속에 또 다른 폴더가 저장되는 걸 거슬러 올라가 보면 어딘가 끝이 있을 겁니다 이걸 우리는 최상위 경로 라고 부릅니다
Windows 파일은 이런 식으로 저장이 되는데 리눅스도 동일합니다
리눅스는 폴더 대신 디렉터리(Directory)라고 부릅니다 폴더 = 디렉터리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
Windows 와 Linux 모두 Unix에서 관리하던 구조를 가져온 겁니다
폴더와 동일하게 디렉터리 안에 파일이 있고, 이 디렉터리 안에 다른 디렉터리가 속해있습니다 이렇게 반복되는 구조를
트리 구조 라고 합니다
트리 구조 : 트리(Tree)란 노드들이 나뭇가지처럼 연결된 비선형 계층적 자료 구조입니다
마치 나무를 거꾸로 뒤집어 놓은 모양과 유사합니다
이렇게 디렉터리를 거슬러 위로 가다 보면 맨 위에 있는 디렉터리가 나옵니다 Windows에서는 C 드라이브처럼
리눅스는 /(슬래시) 라는 디렉터리가 있습니다
Directory 종류
리눅스에서 /(슬래시)는 최상위 경로이고 이곳에서부터 다양한 디렉터리가 존재하게 됩니다
리눅스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최상위 디렉터리 아래에 기본 디렉터리가 생성이 되는데 이 기본 디렉터리의 용도를 알아봅시다
1. /(슬래시) : 최상위 디렉터리 입니다
2. /bin : binary의 약자, 일반적으로 binary는 실행 파일을 뜻하고, 기본 명령어들의 실행 파일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입니다
3. /dev : device의 약자, 리눅스 시스템에 연결되는 하드웨어 장치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입니다
4. /etc : 리눅스에서 설정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입니다
5. /home : 사용자 계정에 할당하여 고유의 디렉터리를 생성해 줍니다 예를 들어, musa 계정을 생성하면 /home/musa/라는 디렉터리가 생성됩니다
6. /lib : 공유 라이브러리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입니다
7. /root : 최고 관리자 권한을 가진 계정의 home 디렉터리입니다
8. /sbin : /bin 디렉터리와 동일하게 binary를 저장하는데, 차이점은 시스템 관리를 위해 명령어 실행 파일들이 저장되는 디렉터리입니다
9. /tmp : 임시 디렉터리입니다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고, 컴퓨터를 껐다 키면 /tmp 디렉터리에 있던 파일들은 전부 삭제됩니다 (캐시 데이터 X : 캐시는 종류마다 따로 저장되는 디렉터리가 있습니다)
10. /var :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렉터리 입니다
이렇게 기본적인 디렉터리를 살펴봤습니다
하지만 이 기본적인 디렉터리는 절대 법칙이 아닙니다 왜냐하면
공유 라이브러리 파일이 저장되는 곳은 /lib 디렉터리에 있을 수도 있고, 없을 수도 있습니다
사용자가 마음대로 파일이 저장되는 곳을 /root 디렉터리에 넣고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절대 법칙이 아닙니다
이번 시간에는 리눅스에서 파일을 어떻게 저장하고 관리하는지 알아봤습니다
다음 시간에는 디렉터리 경로에 대해 공부해 봅시다
[ 참고 사이트 ]